검색결과
공란으로 44개 검색됨
- 모든 리스크 소식 | K Risk 리스크
KICEM 리스크관리위원회 소식 K-Risk 한국리스크전문가협의회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리스크가 없는 프로젝트는 없습니다. 리스크와 관련된 세계의 정보를 아래에 소개하고 있습니다. K-Risk Magazine K-Risk 월간뉴스레터 세계의 리스크 뉴스 (주제별) K-Risk 최근 소식 WSDOT CREM 커뮤니티 소식 2024년도 제5회 PRM 컨퍼런스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1:05:19 357. The Science of Successful Project Planning feat. Bent Flyvbjerg Why are only 8.5% of large projects completed on time and within budget? No matter what type of project you're involved in, whether it's home renovations or space exploration, this conversation promises a wealth of knowledge and insights. Bent Flyvbjerg is a professor at both Oxford University and the IT University of Copenhagen. He is also the author of several works, and his latest book is How Big Things Get Done: The Surprising Factors That Determine the Fate of Every Project, from Home Renovations to Space Exploration and Everything In Between. Bent and Greg delve into the influence of strategic misrepresentation on project outcomes and the often-overlooked power dynamics within organizations that wield considerable influence over a project's fate. They discuss fascinating case studies from the Sydney Opera House, Pixar's blockbusters, and Amazon's product development approach. *unSILOed Podcast is produced by University FM.*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01:05:04 How Big Things (Should) Get Done - Ep128: Prof. Bent Flyvbjerg This week’s guest on Cleaning Up is Bent Flyvbjerg. Bent is Emeritus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Oxford and is the most cited scholar in the world on the subject of megaprojects. Bent’s latest book, released this year, is How Big Things Get Done, on the science of successful project delivery. Michael and Bent discussed the many, substantial implications of Bent’s research for the net-zero transition, including the stark fact that solar and wind projects sit at the top of the tree when it comes to arriving on time and on budget, with nuclear languishing at the very bottom. Make sure you like, subscribe, and share Cleaning Up. We're growing fast on LinkedIn, and we'd love for you tell your professional network about us: https://www.linkedin.com/company/cleaning-up-with-michael-liebreich/ You can find everything you need to keep up with Cleaning Up here: https://linktr.ee/mlcleaningup Links and Related Episodes Bent’s latest book is How Big Things Get Done: https://www.penguinrandomhouse.com/books/672118/how-big-things-get-done-by-bent-flyvbjerg-and-dan-gardner/ Watch Episode 58 with John Redfern, CEO of Eavor: https://www.youtube.com/watch?v=MU8TDupVvjM Watch Episode 92 with Simon Morrish, CEO of Xlinks: https://www.youtube.com/watch?v=m6KIMswZkWA Watch Episode 116 with Tom Samson, former CEO of Rolls Royce SMR: https://www.youtube.com/watch?v=sjThq8c3tT4 Watch Episode 122 with Professor Sir Chris Llewellyn Smith: https://www.youtube.com/watch?v=Y1_gL_XXaQQ Guest Bio Bent is among the most cited scholars in the world on Project Management, Planning, Infrastructure and Cities. He has 30 years of experience as an adviser to government and business, including the US, UK, and Chinese governments and Fortune 500 companies. He has consulted on some of the largest projects in the world, from High-Speed 2 in the UK and the California High-Speed Rail project, each the largest civil construction project ever in their respective countries. Bent is the author or editor of 10 books and more than 200 papers, translated into 20 languages, including Megaprojects and Risk: An Anatomy of Ambition (2014) and this year’s How Big Things Get Done. He has received numerous honours and awards, among them a knighthood and two Fulbright scholarships. Bent is chairman of Oxford Global Projects, and was formerly the Academic Director of Oxford's MSc in Major Programme Management.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58:56 How Big Things Get Done with Prof Bent Flyvbjerg In this episode of The Thinking Leader Bryce Hoffman and Marcus Dimbleby talk with Bent Flyvbjerg, the world's leading megaproject expert, economic geographer, and the first BT Professor at Oxford University. They discuss the problem with big projects and small projects. They explore the ‘iterate and simulate’ process and how it can help navigate the early stages of a project. They discuss the psychology behind why we are hardwired to jump into projects without fully considering all potential risks and pitfalls. Bent explains the planning fallacy and how its concepts can impact our ability to accurately estimate the duration and cost of a project. He also goes into detail about the concept of continuity and the value of experience when it comes to managing projects. Bent, Bryce and Marcus also touch on the topic of power bias and how it can amplify cognitive bias, and discuss strategies for mitigating these biases and ensuring that projects are successful. In this episode you will learn: - How to use the iterate and simulate process to navigate the early stages of a project - Why we are hardwired to jump into projects without considering risks - The planning fallacy and how it impacts project management - How continuity and experience can give you an advantage in identifying problems and finding solutions - How power bias can amplify cognitive bias and learn strategies to mitigate it Find more information on Bent’s book, How Big Things Get Done, here: https://www.penguinrandomhouse.com/books/672118/how-big-things-get-done-by-bent-flyvbjerg-and-dan-gardner/ Want to find out if you’re a Red Team Thinker? Click here to take a free assessment and get your personalized report: https://www.redteamthinking.com/rttassessment Visit our website: https://redteamthinking.com Listen to this episode on your favourite podcast platform: https://www.redteamthinking.com/podcasts/the-thinking-leader Follow us on LinkedIn: https://www.linkedin.com/company/redteamthinking/ Connect with Bryce: https://www.linkedin.com/in/brycehoffman/ Connect with Marcus: https://www.linkedin.com/in/marcusdimbleby/ Bestselling business author Bryce Hoffman and agility expert Marcus Dimbleby talk about decision-making, strategy, resilience and leadership with some of the world’s best CEOs, cognitive scientists, writers, and thinkers in this weekly podcast. Each episode offers new ideas and insights you can use to become a better leader and a better thinker – because bad leaders react, good leaders plan, and great leaders think! #ceo #leadership #innovation 더보기 Will Foulds(2025) 프로젝트 수익 증대 - 리스크 분석을 통한 더 많은 가치 실현 이 보고서는 비용/일정 리스크 분석(Cost/Schedule Risk Analysis, CSRA)이 프로젝트 수익을 보호하는 핵심 도구인 이유와 Safran Risk가 프로젝트 팀이 CSRA 사이클의 각 단계에서 시간을 절약하고 더 많은 비즈니스... RM Daily K-Risk(Lim) 5일 전 [Enterprise Risk] 영국 해저의 중요한 국가 인프라의 취약성 2025년 1월 21일 Dr Robert James Chapman, Dr Chapman and Associates Ltd, 2025년 1월 연락처: DrChapmanAssociates@outlook.com 개요 2024년 12월 25일, 핀란드의... RM Daily K-Risk(Lim) 3월 18일 [Enterprise Risk] 상호 연결된 위험의 복잡성 증가 2025년 3월 13일 Marsh McLennan 의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기업들은 경제 및 금융 리스크(43%), 사이버 리스크(39%), 인적 리스크(38%)를 가장 우려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리스크의 상호 연결성이 의제를 떠올리게... RM Daily K-Risk(Lim) 3월 18일 [oneAdvanced 2025] 2025년 연례 거버넌스 및 리스크관리 동향 보고서 출간 oneAdvanced에서 2025년 연례 거버넌스 및 리스크관리 동향 보고서가 출간되었습니다. 아래는 개요와 목차를 제공하였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를 다운로드하여 살펴보십시오. 서론: 리스크 관리의 미래를 탐색하다 공공 및 민간 부문의... RM Daily K-Risk(Lim) 3월 4일 [OBS뉴스] ㈜삼신 PM 기법 도입…㈜PCCA에서 전담 교육 2025년 2월 21일 by 이정현 원자력발전소용 밸브를 생산하는 ㈜ 삼신은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강소 기업입니다. 1984년에 원자력 발전소용 밸브를 국내에서 최초로 국산화하여 공급한 곳으로, 2007년 국내 최초로 중국 원전 밸브... RM Daily K-Risk(Lim) 3월 3일 [IRM 2024] Enterprise Risk 기업리스크 2024년 겨울호 Enterprise Risk Magazine - Winter 2024 by Institute of Risk Management - Issuu by Arthur Piper (편집자)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전쟁 중인 왕들이 유명한 오라클의 조언을... RM Daily K-Risk(Lim) 3월 2일 [IRM 2025] 영국 리스크관리협회 리스크 동향 2025 보고서 출간 by Stephen Sidebottom, IRM 의장 전례 없는 변화의 시대에 새로운 리스크 트렌드를 이해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IRM의 리스크 트렌드 간행물은 단순히 결과를 예측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변화의 속도와 전 세계 기업과... RM Daily K-Risk(Lim) 3월 1일 [Psyche Central] 직장에서의 내향성 대 외향성: 내향성에 대한 통계의 통계 및 추세 2024년 12월 26일 by Amanda Cassey 내향적인 사람들이 직장에서 외향적인 사람들보다 $10,000 적게 번다는 것을 알고 계셨습니까? 이것은 성격이 성공과 돈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줍니다. 직장에서 내향적인 사람과... RM Daily K-Risk(Lim) 2월 26일 [Project Manager] 21가지의 최고의 PM인증(자격) by Camilo Tristancho | Aug 19, 2024 프로젝트관리전문가가 되기 위해 취득할 수 있는 몇 가지 프로젝트 관리 인증이 있습니다. 어떤 것이 가장 적합한지 결정하려면 프로젝트관리기술 , 선택하려는 경력 경로 또는 원하는... RM Daily K-Risk(Lim) 2월 24일 [AACE International]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서 2025 Conference & Expo 개최 올해 6월 15~17일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서 2025 Conference & Expo 개최됩니다. --- 아래 --- Conference & Expo는 세계 최고의 비용 및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와 전담 전문가를 소집 합니다.... RM Daily K-Risk(Lim) 2월 19일 [RIMS] 미국 시카고 맥코믹 플레이스 컨벤션 센터(McCormick Place Convention Center)에서 리스크월드 2025(RISKWORLD 2025) 행사 개최 미국 시카고 맥코믹 플레이스 컨벤션 센터(McCormick Place Convention Center)에서 리스크월드 2025(RISKWORLD 2025) 행사가 개최됩니다. 아래 강연자 살펴보시고 행사 참가에 관심이 있는 분은 등록 사이트로... RM Daily K-Risk(Lim) 2월 19일 세계경제포럼WEF(2025) 2025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 제20판 통찰력 보고서 아래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출간한 2025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 제20판 통찰력 보고서의 서문입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보고서를 다운로드하여 살펴보십시오. by Saadia Zahidi 지난해 글로벌 리스크보고서에서 강조된 수십 년에 걸친... RM Daily K-Risk(Lim) 2월 17일 Visual Capitalist(25.02.05) 미래를 정의하는 최상위 톱 10 글로벌 리스크 February 5, 2025 By Govind Bhutada Graphics/Design: Joyce Ma 이 글은 원래 Voronoi 앱 에 게시되었습니다. iOS 또는 Android 에서 무료로 앱을 다운로드하고 다양한 신뢰할 수 있는... RM Daily K-Risk(Lim) 2월 17일 Santamaria-Ariza(2023) 교통(운송)인프라 시스템의 리스크, 회복탄력성, 지속가능성관리에 대한 탐색적 서지통계학적 분석 An exploratory bibliometric analysis of risk, resilience,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of transport infrastructure systems 교통 인프라 시스템(Transport infrastructure systems, TIS)은 경제 발전과 복지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인프라는 구조적 결함, 교통 혼란, 부상 및 사망, 환경 파괴를 야기하는 자연적 및... RM Daily K-Risk(Lim) 2월 15일 Al Qudah (2024) 건설산업에서의 리스크관리에 대한 문헌의 서지계량학적 분석: 현재 및 미래 동향 탐색 본 논문에서는 건설산업에서의 리스크관리 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과 미래연구 방향 을 기술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 및 VOSviewer를 활용한 서지계량학적 분석(Bibliometric Analysis... RM Daily K-Risk(Lim) 2월 15일 Widaryanti 등(2025) Risk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Performance Research Map: A comprehensive Bibliometric analysis 리스크관리 및 지속가능성 성과 연구 지도: 종합적인 서지계량학적 분석 목적(Purpose) 본 연구는 서지계량학적 분석(Bibliometric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여 리스크관리(Risk Management) 및 지속가능성 성과(Sustainability Performance) 분야의 연구 동향과 패턴을... RM Daily K-Risk(Lim) 2월 15일 (아시아투데이) 이은채 광주시의원 “대규모 투자사업 철저한 리스크 관리 필요” 2025. 02. 05 by 남명우기자 국내 건설경기 침체로 현재 경기 광주시가 추진 중인 대규모 투자사업에 차질이 우려됨에 따라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5일 광주시의회에 따르면 이은채 의원( 나선거구)는 전날 열린... RM Daily K-Risk(Lim) 2월 10일 [FHWA 2018]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확장 가능한 리스크 평가 방법 안내서 이 안내서는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확장 가능한 리스크 평가 방법을 설명합니다. 여기서 리스크는 잠재적인 충돌 사건에 노출되었을 때 충돌이 발생할 확률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 안내서는 다양한 지리적 규모에서 리스크 값을 개발하기 위한... RM Daily K-Risk(Lim) 1월 16일 [FHWA 2018] 운송 계획 리스크관리를 위한 로드맵 - 리스크 도구 편집 및 표준 장거리 계획 및 시나리오 계획과 관련된 조사 (초록인용) 이 문서는 운송 기관이 계획 과정에 리스크관리 방법과 기법을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광범위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운송기관 관리자들도 점점 더 많이 활용하고 있는 리스크관리는 기업의 목표 달성에... 인프라.건설 리스크 K-Risk(Lim) 1월 16일 [Butts 2017] 리스크를 파악하는 방법 펜실베이니아주 화이트홀 타운십에 있는 84년된 시멘톤 교량은 리하이 강을 하루에 16,000대 이상의 차량이 지나다닙니다. 그러나 미국의 많은 교량과 마찬가지로, 이 구조물은 여행자들에게 지속적인 운영과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교체가 필요합니다.... 인프라.건설 리스크 K-Risk(Lim) 1월 16일 [백승원 외 2019] (저플랜트, 건축, 토목 공종별 해외건설 리스크평가 비교분석 (논문) 논문요약: 이 연구는 국내 대기업이 수행한 124건의 국제 건설 프로젝트에서 입찰 전 리스크 수준, 낙찰 후 실제 리스크 수준, 컨틴전시, 비용 증가율을 조사했습니다. 이 연구는 순위 분석, ANOVA, 상관 분석을 통해 제품 유형별로 비교... 인프라.건설 리스크 K-Risk(Lim) 1월 16일 [TR News] 작업구간 침입 리스크 완화 이 글은 부분적으로 NCHRP 연구 보고서 1003: 고속도로 작업 구역으로의 차량 침입을 방지하고 완화하기 위한 대체 기술 가이드와 NCHRP 웹 전용 문서 322: 작업 구역에서 부상 및 사망의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한 대체 기술: 연구 보고서... 인프라.건설 리스크 K-Risk(Lim) 1월 15일 [NSW Government and Austroads] Resilient Transport 2025 회복탄력적인 운송시설 2025 1일 세미나 개 Resilient Transport 2025 Tickets, Wed, Feb 12, 2025 at 9:00 AM | Eventbrite Resilient Transport 2025 | Austroads... RM Daily K-Risk(Lim) 1월 10일 [John Reilly International] CEVP-RIAAT Cost-Risk Management CEVP-RIAAT 비용리스크관리 CEVP 프로세스는 2002년 워싱턴주교통부(WSDOT)와 함께 일한 John Reilly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2013년까지 프로세스를 개선했습니다. 개발 및 구현에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여 WSDOT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핵심 개념은 미래의... RM Daily K-Risk(Lim) 1월 8일 [Reilly 2018] Megaprojects and Risk 메가프로젝트와 리스크 (강의자료) Slide 1 RM Daily K-Risk(Lim) 1월 8일 [Reilly 2017] A Short History of Risk Management 리스크관리의 간단한 역사 (발표자료) Slide 1 RM Daily K-Risk(Lim) 1월 8일 [John Reilly International] John Reilly 소개 의 60년 동안 John Reilly 는 대규모의 복잡한 인프라 프로그램, 고속도로, 교통 시스템, 공항, 도시, 차량 제조, 건물 및 지하 시설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젝트의 관리, 설계 및 건설에 종사해 왔습니다. 서비스 에는 프로그램 관리,... RM Daily K-Risk(Lim) 1월 8일 [RIMS] 건축, 엔지니어링 및 건설을 위한 10가지 리스크관리 모범 사례 by Anna Liza Montenegro 2024년 11월 20일 규모나 범위에 관계없이 모든 건축, 엔지니어링, 건설(AEC) 프로젝트에는 어느 정도의 리스크가 수반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경제적인 요인으로 인해 AEC 회사들은 예산을... RM Daily K-Risk(Lim) 1월 4일 [RIMS] 세계적인 분쟁으로 인한 비용 증가 by Jennifer Post 2025년 1월 2일 베리스크 메이플크로프트(Verisk Maplecroft)의 정치적 리스크 전망(Political Risk Outlook) 에 따르면 전 세계 분쟁 지역은 2021년 이후 65% 증가했습니다.... RM Daily K-Risk(Lim) 1월 4일 [Verisk Maplecroft 2024] 정치 리스크 전망 정치적 리스크 전망은 Verisk Maplecroft의 독특한 국가 리스크 데이터 포트폴리오와 전문가 팀의 분석을 바탕으로 국제 비즈니스의 리스크 환경을 주도하는 주요 글로벌 이슈의 복잡성을 제거합니다. 이 연구는 기업과 투자자가 지정학적... 문헌 K-Risk(Lim) 1월 4일 2024년도 리스크 (Year 2024 Risk) by O'Rourke 등 2024년 12월 23일 2024년에 전 세계 조직은 자연재해 및 기상 이변, 지정학 및 공급망 리스크, 사이버 보안 및 인공 지능 위협, 규제 및 규정 준수 문제 등 다양한 리스크에 직면했습니다. 다음은 올해 가장... RM Daily K-Risk(Lim) 1월 4일 [Poluektova] 핀테크 부문 최고 리스크 책임자 Chief Risk Officer (CRO) 리스크관리는 정책과 절차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람에 관한 것입니다. 빅토리아 폴루엑토바(Viktorija Poluektova)를 만나보세요. Viktorija는 기업리스크관리(ERM)에서 레벨5 국제인증서를 받았습니다. 자금세탁방지(AML)... RM Daily K-Risk(Lim) 1월 4일 [WSDOT 2024] 월간 시장 동향 2024년 12월호 RM Daily K-Risk(Lim) 1월 4일 [RIMS] 정리 해고 중 조직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전체론적 접근 방식 A Holistic Approach to Managing Organizational Risk During Layoffs 2024년 11월 13일 by Jeffrey Doucet 정리 해고는 모든 비즈니스 주기에서 불가피한 부분이며 조직이 취할 수 있는 가장 까다롭고 섬세한 조치 중 하나입니다. 적절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조직과 조직의 성공 전망을 위태롭게 할 수... RM Daily K-Risk(Lim) 2024년 12월 29일 [Waugh 2023] Integrating Risk and Resilience in Transportation Asset Management 운송 자산 관리에서 위험과 회복탄력성의 통합 도로망, 교량, 터널과 같은 운송 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폭풍, 홍수 및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는 더욱 빈번하고 재앙적으로 변하여 심각한 피해, 경제적 손실, 사회적 고립 및 운송 시스템에 크게 의존하는 다른 중요한 네트워크에 악영향을 미치고... RM Daily K-Risk(Lim) 2024년 12월 8일 [ITA-AITES 2023] Code of practice for risk management of tunnels works - 3rd edition 터널 작업의 리스크 관리를 위한 실무 코드 - 제3판 이 실무 코드 심각한 사고(보험 청구로 이어짐)의 빈도와 심각성을 지속 가능한 범위 내로 줄이기 위해 보험 및 터널 업계가 공동으로 준비한 코드의 최신판입니다. 이 3판은 현재까지의 코드 적용 및 필요한 업데이트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업계... RM Daily K-Risk(Lim) 2024년 12월 8일 [Mampara 등 2024] NCHRP Research Report 1131 Flood Forecasting for Transportation Resilience 교통 복원력을 위한 홍수 예측 가이드 운송 시스템은 다양한 해저드에 노출되어 있으며, 홍수는 가장 흔하고 결과적인 해저드 중 하나입니다. 주 교통부(DOT)는 홍수 예측을 사용하여 내부 홍수 수준 알림 발행, 현장 직원 홍수 위치로 안내, 도로 폐쇄 발령과 같은 조치를 알릴 수... RM Daily K-Risk(Lim) 2024년 12월 8일 [WSDOT 2024] 2024년 11월 Monthly Market Trends 월간시장동향 K-Risk(Lim) 2024년 12월 7일 [PMI 2024] 3-포인트 추정 3-Points Estimating 3-Points는 전문가들이 추정할 때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이전 경험 또는 최상의 추측을 기반으로 필요한 모든 분포에 대해 처음에 생성되는 세 가지 수치를 사용합니다. 첫 번째는 팀 구성원이 작업을 100번 수행할 경우 수행할 수... K-Risk(Lim) 2024년 12월 6일 [Hopkinson 2022] Practical Project Risk Management - Three-point Estimates: A brief guide 실무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 3점 추정: 간단한 가이드 리스크 임팩트 또는 영향의 규모와 범위를 모델링하는 간단한 수단을 제공합니다. 프로젝트 리스크의 비용 또는 일정 영향에 대해 3점식 추정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다른 중요한 변수와 연계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항공기 개발... RM Daily K-Risk(Lim) 2024년 12월 6일 [RIMS 2023] 겨울철 날씨의 리스크에 대비하기 2023년 12월 1일 by Christine Sullivan , Aaron Cameron 겨울이 빠르게 다가옴에 따라 조직은 폭설, 얼음, 강풍 및 혹한으로 인한 추위 스트레스 및 날씨 관련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를 지금 취해야 합니다.... 기후변화 리스크 K-Risk(Lim) 2024년 12월 4일 [Austroads 2024] 기후 변화 및 자연재해 리스크 평가 및 대응 계획 가이드라인 Climate Change and Natural Hazards Risk Assessment and Adaptation Planning Guidelines 기후 변화 및 자연재해 리스크 평가 지침은 호주 및 뉴질랜드 교통 기관이 기후 변화 및 자연재해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고 적응 계획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프레임워크를 제시합니다. 전체에 걸쳐 예시가 제공됩니다. 이 지침은 물리적 리스크와 전환... K-Risk(Lim) 2024년 12월 1일 [NASEM 2024]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tomated Laboratories for Biotechnology: Leveraging Opportunities and Mitigating Risks 생명공학을 위한 인공 지능 및 자동화된 실험실: 기회 활용 및 리스크 완화: 워크숍 요약 자료 인공 지능(AI)과 자동화는 생물학적 발견과 생명공학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데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로봇 및 원격 제어 장비는 연구를 가속화하는 데 사용되고 있으며, AI는 자연 세계를 탐험하고 유용한 기능을 갖춘 생물학적 개체를... RM Daily K-Risk(Lim) 2024년 12월 1일 [ACRP 2024] Web Only Document 64 공항의 기후 변화 취약성 평가 이 입문서는 기후 변화의 임팩트에 대한 공항의 취약성을 평가하는 데 관심이 있는 공항 의사결정자, 운영자, 계획자 및 컨설턴트가 사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사용자는 관련 임팩트에 적응하고 대비하기 위해 변화하는 기후 조건에 대한 운영 및... RM Daily K-Risk(Lim) 2024년 12월 1일 [Wikipedia] 메가 프로젝트와 리스크 Megaprojects and Risk - Wikipedia Megaprojects and Risk: An Anatomy of Ambition( 거대 프로젝트와 리스크: 야망의 해부학) 은 Bent Flyvbjerg , Nils... RM Daily K-Risk(Lim) 2024년 11월 25일 [Flyvbjerg 2021] 프로젝트관리에 있어서의 10가지 행동 편향: 개요 Top Ten Behavioral Biases in Project Management: An Overview 행동 과학은 행동 과학자들이 식별한 편향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현재 200개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프로젝트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10가지 행동 편향을 식별합니다. 첫째, 우리는 흔히 그렇듯이 행동 편향을 인지... RM Daily K-Risk(Lim) 2024년 11월 21일 [Flyvbjerg 2020] 꼬리로의 회귀: 올림픽이 폭발하는 이유 Regression to the tail: Why the Olympics blow up (요약문 번역) 올림픽은 도시와 국가가 주최하는 가장 크고, 가장 주목받고, 가장 많은 비용이 드는 메가 이벤트입니다. 평균 스포츠 관련 개최 비용은 120억 달러에 달합니다. 스포츠와 관련되지 않은 비용은 일반적으로 그 몇 배에 달합니다.... RM Daily K-Risk(Lim) 2024년 11월 21일 [UK Roads Liaison Group 2018] 도보 및 자전거 경로에 대한 자산관리 지침: 리스크 기반 유지보수 관리에 대한 접근 방식 ASSET MANAGEMENT GUIDANCE FOR FOOTWAYS AND CYCLE ROUTES: AN APPROACH TO RISK BASED MAINTENANCE MANAGEMENT 이 문서는 영국 도로위원회의 보도 및 자전거도로 관리 그룹(FCMG)으로 구성된 프로젝트 운영 그룹의 전반적인 책임하에 작성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UKRLG를 통해 DfT의 자금을 받아 FCMG를 대신하여 TfL이 의뢰하고 관리했으며,... RM Daily K-Risk(Lim) 2024년 11월 18일 [김인호 2024.08.14] [시론] 대형 국책사업 리스크의 근원, 정치와 심리, 대한경제 by 김인호 (전) 국방부기조실장, 대한경제 2024년 8월 14일 대형 건설사업의 부실한 성과는 만국 공통 현상인가. 2002년 7월11일 <뉴욕타임스>는 1910년부터 1998년까지 추진된 건설 사업비가 책정 예산 대비 평균 28%를... RM Daily K-Risk(Lim) 2024년 11월 13일 [WSDOT 2024] 2024년 10월 월간 시장 추세 RM Daily K-Risk(Lim) 2024년 11월 7일 1 2 3 4 5 To play, press and hold the enter key. To stop, release the enter key.
- 회칙 | K Risk 리스크
[K-Risk(한국리스크전문가협의회)] (2020.04.17) 회칙 K-Risk(한국리스크전문가협의회) 회칙 제1조 (목적) 본 협의회는 리스크전문가 및 관심자들 간의 정보 교류를 바탕으로 각 산업 및 연구분야에 있어서의 지속가능한 리스크관리(Risk Management, 이하 RM이라 함) 문화를 정착과 촉진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이를 통한 사회로의 긍정적인 환원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명칭) 본 협의회의 명칭은 한국리스크전문가협의회(KOrea Risk Experts Society)로 하고, 영문표기는 “KORESC"라 한다. (이하 ”본 회“로 칭함) 제3조 (주요 활동) 본 회의 주요 활동은 아래 각 호와 같다. 단, 회원의 권익이 우선되도록 한다. 가. RM정보 교류를 위한 국내외 각종 포럼, 세미나 추진 나. RM관련 국내외 기관들의 행사(세미나, 컨퍼런스 등) 참여 및 지원 다. RM관련 국내외 기관의 회원, 위원회 참여. 라. RM활성화를 위한 각종 사업(교육, 출판 등) 추진 마. RM을 활용한 R&D 및 용역의 수행 및 자문 바. 회원간의 친목 도모를 위한 각종 활동(체육 및 워크숍 등) 참여 사. 기타 회원들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활동 제4조 (회원의 자격) 본 회는 RM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그 기법을 이해하고 RM의 활성화를 위해 적극 참여가 가능한 사람은 누구나 회원이 될 수 있다. 제5조 (회원의 권리와 의무) 본 회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권리를 가질 수 있는 자격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회칙의 제7조에 규정한 역할에 대한 의무를 가지며 의사결정과정에 적극 참여하여 의사표현을 하여야 한다. 제6조 (회원의 구분) 본 회의 회원은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가. 일반(종신)회원: 본 회의 취지에 동의하며 회원가입신청서를 제출하고 소정의 회비를 납부한 자(종신회비를 납부한 자는 종신회원이 됨). 나. 학생회원: 학생(대학원생 포함) 신분으로서 회원가입신청서를 제출하고 본 회(그룹)의 취지에 동의하며 소정의 회비를 납부한 자. 다. 참여회원: 본 회의 취지에 동의하고 회원가입신청서를 제출하였으나 아직 연회비는 납부하지 않은 자. 라. 기업회원: 본 회의 취지에 동의하고 대표자 명의로 회원가입신청서를 제출하고 연회비를 납부한 기업단체 회원 제7조 (회원의 역할 및 권리) 본 회의 회원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가. 일반회원: 일반회원은 본회의 규칙에서 정한 참여 권한과 의결권을 가지게 되며, 본회의 발전을 위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혜택을 우선할 권리가 있다. 1. 각종 세미나/컨퍼런스 참여 및 출판물 구입 등에서 소정의 혜택을 받을 권리 2. 본 회의 활동을 통한 컨설팅/교육등 용역을 수주하여 컨소시엄 등을 구성하거나, 자문위원 등을 위촉할 경우 우선 선정될 권리 나. 학생회원: 위 가항의 일반회원 권리와 동등한 권리를 가지나 의결권은 없다. 다. 참여회원: 본 회의 행사에 적극 참여하여 의견 개진 등은 하지만 상기 일반회원과 학생회원의 권리는 없다. 즉, 일반회원으로의 회원 자격 전환을 고려중인 회원이다. 라. 기업(단체)회원: 기업이나 단체 소속 임직원은 일반회원 권리와 동등한 권리를 갖는다. 제8조 (임원의 구분) 임원은 회장, 감사 및 운영위원으로 구분한다. 제9조 (조직 구성 및 책무) 본 회의 조직 구성 및 책무는 다음과 같다. 가. 회장: 회의 전략, 방향 등 본 회의 발전을 위한 제반 활동을 하여 본 회의 발전에 기여하여야 한다. 나. 감사: 본 회의 회비가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감시 보고하는 역할을 한다. 1인을 두기로 한다. 다. 운영위원: 본 회의 일반회원중에서 선출된 자로서 운영회의에 적극 참여할 의무가 있으며, 운영위원회에서의 의결권을 가진다. 인원수는 제한을 두지 않고 필요한 수만큼 둘 수 있다. 제10조 (임원의 선출) 임원의 선출은 다음 각 항과 같으며 구체적인 선출방식은 운영위원회의 의결에 따른다. 가 회장의 선출 – 회장은 일반회원으로서 기존의 일반회원이면 누구든 문서 또는 카카오톡 등으로 후보자를 추천할 수 있고 정기총회의 투표에 의해 선출한다. 나 감사 선출 – 일반회원이면 누구든 감사를 추천할 수 있고 후보자 중 총회의 의결을 거쳐 정한다. 다. 운영위원 선출 – 신규 운영위원은 제6조에 의거하여 회장과 기존 운영위원, 정회원 등이 수시로 추천할 수 있으며 추천자에 대해서는 차기 운영회의시 선출한다. 제11조 (임원의 임기) 본 회의 임원의 임기는 다음과 같다. ① 회장의 임기 – 회장은 선출된 날로부터 2년간으로 하며, 1회에 한하여 연임이 가능하다. 임기 시작은 각 년도 1월 1일로 한다. 회장의 임기가 끝나면 운영위원으로 복기한다. ② 감사의 임기 - 감사는 선출된 날로부터 2년간으로 하며, 연임이 가능하다. ③ 운영위원의 임기 - 운영위원은 수시로 정할 수 있으며 본인이 운영위원 지위를 포기하지 않은 한 무기한 유지한다. 제12조 (운영위원회의) ① 운영위원회의는 제9조 다.항의 운영위원으로 구성한다. ② 운영위원회의는 주요의결사항이 발생한 경우 회장이 소집할 수 있다. 단, 회장 유고시는 운영위원 3인 이상이 발의하여 회장대행을 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면 운영위원 중 최고령자가 회장대행을 한다. ③ 운영위원회 업무 가. 임원(회장 제외)의 선출 및 해임 나. 정기운영위원회, 임시운영위원회, 정기총회 사전 안건 심의 다. 회비 예산 및 결산 심의. 라. 운영규칙개정 등 각종 주요안건의 의결 등 ④ 의결 - 운영위원회의 의결사항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최소한 운영위원 재적수의 과반수 이상 참석하고 참석자의 과반수 이상 동의를 거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13조 (정기총회) ① 정기총회는 제6조 참여회원을 제외한 회원 전체로 구성한다. ② 정기총회는 1년 1회에 한해 회장이 정기총회 의장이 된다. 단, 회장 유고시는 운영위원 3인 이상 발의하여 정기총회를 소집할 수 있으며,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운영위원중 최고령자가 회장이 된다. ③ 정기총회의 의결사항 가. 임원(회장포함)의 선출 및 해임 나. 예산 결산 다. 운영규칙 (최종 최종 결심) 재정 혹은 개정 마. 신년도 사업추진계획 승인 라. 기타 주요 사업 및 의결사항 ③ 의결 -정기총위원회 의결사항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최소한 운영위원과 정위원 재적수의 과반수 이상 참여하여야 하며, 의결은 참석자의 과반수 이상 동의를 거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직접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 문자, 이메일 등의 확인할 수 있는 문서로 특정인 또는 회장에게 위임할 수 있다. 제14조 (회원 가입 및 탈퇴) ① 회원의 가입 – 본 회(그룹)의 취지에 찬동하는 자는 가입신청서와 함께 가입의사를 요청하면 회원 자격부여는 운영위원회에서 결정하여 공지한다. 회원가입 희망자 중 일반 및 기업회원은 가입결정 공지 후, 2주일 안에 본 회에 회비를 납부하여야 한다. ② 회원의 탈퇴 본 회의 탈퇴는 자유의사에 의하며, 탈퇴 시 이메일, 문자메시지 또는 서면으로 의사를 표현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회장이 확인한다. 또한 회(그룹)의 탈퇴(자격정지)시 기부금은 환급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회비는 개월수로 나누어 환급 처리한다. 제15조 (회원 자격 전환 및 정지) ① 회원의 자격 전환 - 본 회의 회원 중 다음 각호에 해당할 때에는 운영위원회의를 열어 위원의 자격을 전환시킬 수 있다. 가. 본 회의 운영위원 활동에 사실상 참여하지 아니하는 자로서 운영위원 의결을 통하여 일반회원으로 전환한다. 나. 본 회의 일반회원으로서 2년 이상 회비를 납부하지 아니한 자는 참여회원으로 자동 전환한다. ② 회원의 자격 정지 - 본 회의 위원 중 다음 각 호에 해당할 때에는 운영위원회의를 열어 회원의 자격을 정지시킬 수 있다. 가. 본 회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회원으로서의 품위를 손상하는 행위를 하는 자 나. 본 위원회의 목적에 배치되는 행위를 하거나 고의로 방해하는 자 다. 기타 회원으로서 부적당하다고 인정되는 자 제16조 (동호회 설립 및 운영) 본 회의 회원이면 누구든지 “제3조 주요활동” 마.항에 의거 위원간의 친목도모와 참여도를 독려할 목적으로 5인 이상의 회원이 요청하면 운영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별도의 동호회를 둘 수 있다. 동호회의 운영 및 지원방안은 운영위원회에서 결정한다. 제17조 (재정의 수지) 본 회의 재정은 연회비, 발전기금 및 기타 수익금으로 하되 다음 각 호와 같이 운영함을 원칙으로 한다. ① 연회비 – 연회비는 초기 가입비 없이 다음과 같이 한다. 가. 운영위원은 20만원의 연회비를 납부하는 것으로 한다. 나. 일반회원은 10만원을 연회비를 납부하는 것으로 한다. 다. (풀타임) 학생회원은 3만원 가입비를 납부하는 것으로 하며 학생신분을 유지하는 동안은 추가 연회비는 면제하기로 한다. 라. 기업(단체)회원은 소기업, 중기업 및 대기업 각각 1,000,000원, 2,000,000, 5,000,000원으로 한다. 마. 참여회원은 연회비를 납부하지 않으며, 일반회원의 연회비를 납부한 경우에는 일반회원으로 자동 전환된다. 바. 종신회원은 일반회원과 기업회원에 해당이 되며 상기 연회비의 7년치에 해당되는 비용을 납부해야 한다. 사. 지인/기업이 본 회의 회원의 추천으로 가입한 경우 신규 회원가입비의 10% 만큼 차기년도 연회비를 할인 인센티브를 준다. 마. 단체(그룹)명으로 동시에 여러명이 회원가입하는 경우, 단체 할인을 적용하여 2명은 각각 5% 할인, 3명은 각각 10% 할인, 4명은 각각 15% 할인, 5명 이상은 각각 20% 할인한다. ② 발전기금 - 기부금은 회원이면 누구나 본회의 발전을 위하여 언제든 자발적으로 기부할 수 있다.(금액 미지정) ③ 수익금 등 - 본 회에서는 원활한 재정조달을 위하여 본 회 주관 또는 유관기관 개최 교육 및 세미나 개최, 또는 본 회의 활동을 통한 컨설팅/교육 수주의 경우 개인 교육/용역 수입액의 10%를 발전기금으로 납부하여야 한다. ④ 재정 지출 방법 상기 항목의 재정은 본 회의 발전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특별한 사유가 있으면 운영위원회에서 의결하여 정하는 것으로 한다. 가. 각종 회합, 행사의 경우 발생되는 강사수당, 식비, 인쇄물, 대관비, 등 직접 소요 경비는 본 회 재정에서 활용하는 것으로 한다. 나. 식대는 1인당 2만원 내에서 지출하는 것으로 하고 운영위원의 사전 동의를 구하면 최대한 3만원까지 사용할 수 있다. 다. 직접 경비는 지출의결 시 반드시 증빙서류를 보관하여 수지결산보고 시 근거서류로 첨부한다. 라. 동호회에 대한 지원은 연초에 운영위원회의 의결을 득한 연간활동계획서에 포함된 지출항목 범위 내에서 지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마. 뉴스레터 등 출판물 발간을 위한 편집비, 자료번역비, 원고료 등은 사전에 운영회의 의결을 거쳐 지출한다. ⑤ 수지결산보고 - 회장은 회기 종료 1개월 전에 회기 기간동안 사용한 입출금내역을 정리하여 감사에게 확인 받은 후 회원에게 보고할 의무를 가지며, 차기 회장에게 결산서 일체를 인계하여야 한다. 단, 필요시 회기년도에 수지결산 보고를 할 수 있다. ⑥ 회기 – 본 회의 회기는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 한다. 제18조 (부칙) ① 본 회칙은 2020년 4월 1일 부터 시행한다. ② 본 회칙은 시행일로부터 효력을 발생한다.
- 뉴스레터(2020-2022) | K Risk 리스크
2023년 뉴스레터 2022년 뉴스레터 자세히 자세히 자세히 자세히 2021년 뉴스레터 GO GO GO GO 2020년 뉴스레터
- 회비 | K Risk 리스크
회 비 일반회원 ₩ 100,000 100,000₩ 선택 홈페이지 블로그, 전자도서관, 뉴스레터 등 정기간행물 구독 교육, 세미나, 컨퍼런스, 출판서적 등 할인구매 혜택 홈페이지 블로그 글 게시 Best Value 운영위원 ₩ 200,000 200,000₩ 운영위원 선택 일반회원 모든 혜택 제공 위원장 역할 수행 가능 K-Risk 주요 의사결정과정 참여 학생회원 ₩ 30,000 30,000₩ 학생신분인 동안 면제 혜택 선택 일반회원 모든 혜택 제공 학생신분인 동안 평생 1회만 납부 일간 기업회원 ₩ 1,000,000 1,000,000₩ 1년 주기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K-Risk 정기소식지 및 매거진, 행사 초대 및 일부 할인 혜택 제공됩니다. 선택 정회원 10인 이하 자격 (운영위원 포함) - 총회 의결권 부여 운영위원 2인 이하 활동 가능 (대표자 포함) 프리미엄 기업회원 ₩ 2,000,000 2,000,000₩ 1년 주기 중견기업 또는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기업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기본 혜택 외에 단체와 협업 가능 (예: 공동 프로젝트 참여), 단체 웹사이트나 자료에 기업 로고 노출 등 회사의 적극적 홍보도 지원해 드립니다. 선택 정회원 20인 이하 자격 부여 (운영위원 포함) - 총회 의결권 제공 운영위원 5인 이하 활동 혜택 제공
- 사업분야 | K Risk 리스크
K-Risk 한국리스크전문가협의회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리스크가 없는 프로젝트는 없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식별하고 평가하고 관리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제3자의 독립적인 전문가와의 팀 협업을 통해 매우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K-Risk는 이러한 깨달음을 바탕으로 여러 전문가들이 함께하기 위하여 설립된 비영리 단체입니다. 우리 단체에는 리스크관리에 관심있으신 누구든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 협의회의 회원이 되어 주세요. 주요사업 A 기술(학술)교류 정기세미나/웨비나 컨퍼런스 B 교육사업 기업교육 인증교육 회원역량강화교육 Training 워크숍 C 출판사업 가이드라인 지침 뉴스레터 각종 저술집 Rikipedia D 학술정책연구사업 리스크 관리 관련 학술 연구 정책 제도 연구 사업 E 컨설팅 및 기술 자문 컨설팅 기술자문 SME (분야전문가) 팀구성 F 리스크관리관련 사업 기반시설관리법에 따른 시설물의 리스크평가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VE)를 위한 리스크분석/관리 Risk-Based 기반시설 자산관리 설계의 안전성 검토 (DFS)를 위한 리스크분석 기타 여러 위해(안전)평가 관련
- 지혜 Wisdom | K Risk 리스크
실패에 대한 두려움 극복하기 “실패는 자연스러운 것이다. / 실패는 피할 수 없다 / 실패는 정보다” — Dr. David Hillson, CEO of Risk Doctor 더보기
- 벤치마킹사이트 | K Risk 리스크
벤치마킹 사이트 Risk와 관련된 Site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Nevada 주정부의 RM부서 Risk Management (nv.gov) 미국 Oregon RM 전용사이트 https://www.oregon.gov/odot/Engineering/Pages/VE-RM.aspx 미국 WSDOT CRA.CEVP https://wsdot.wa.gov/engineering-standards/project-management-training 한국VE연구원 리스크전문가 양성교육 https://www.kvei.or.kr/sub04_3_1 ECRI http://www.ecrionline.org/ Global RMI https://grm.institute/ Infrastructure Magazine https://infrastructuremagazine.com.au/ IRM https://www.theirm.org/ Primavera Risk Analysis https://p6schedulers.com/risk-register-and-primavera-risk-analysis/ Risk Methods https://www.riskmethods.net/ RIMS https://www.rims.org/ Safran Risk https://www.safran.com/blog
- K-Risk Magazine | K-Risk 한국리스크전문가협의회
K-Risk Magazine K-Risk Magazine 2024년 겨울호(No. 2024-04)가 발간되었습니다. 2025년 봄호(No. 2025-01)는 25년 6월초에 발간될 예정입니다. 2023년 K-Risk Magazine 봄, 여름, 가을호, 겨울호
- 2023 제4회 PRM컨퍼런스 | K Risk 리스크
대 회 소 개 제4회 PRM(Project Risk Management) 컨퍼런스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PRM컨퍼런스는 K-Risk(한국리스크전문가협의회) 주관하에 프로젝트와 조직의 리스크관리를 연구/실현시키는 개인/조직에게 필요한 전문 기술과 경험을 공유하고 우리나라 프로젝트 리스크관리 기법이 실무에 더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매년 개최되고 있습니다. 2020년 11월 제1회 컨퍼런스를 서울에서 처음으로 개최한 이후 올해는 대전에서 제4회 컨퍼런스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 이벤트는 리스크분석 및 관리와 신뢰성에 관한 기술이 필요한 조직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의 계획 설계 단계의 사업비 및 사업 기간 리스크분석에서 부터, 계약/클레임, 재해 재난, 설계안전성검토, 사업연속성관리체계, 기반시설 자산관리, VE과정 속에서의 RM 활용 방법 등 리스크 관련 폭넓은 분야의 전문가와 리스크관리/신뢰성/불확실성을 다루는 법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자 하는 대학원생, 연구가, 공직자, 기업인 등 일반 모든 개인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사업의 목표에 영향을 주는 불확실성에 대해 고민하고 대응책을 내며 항상 고민하고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여러분이 금번 컨퍼런스에서 소중한 경험을 공유하고 또 다른 분들의 소중한 지혜를 함께 얻어 가시기를 희망합니다. 대면 참가자 중 작년에 미참석자께는 K-Risk가 심혈을 기울여 집필 발간한 프로젝트 리스크관리 가이드라인 개정판(제3편 리스크기반견적(Risk-Based Estimate) 포함)을 무료로 증정할 것이며, 온라인 참가자께도 우편(우편요금 본인부담)으로 보내드릴 예정입니다. K-Risk(한국리스크전문가협의회)에서는 리스크의 여러 분야 중에서 특히 건설분야의 프로젝트 리스크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지속적으로 발간하면서 국내 건설산업에 종사하는 관계자들이 실무적인 리스크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공해 왔으며, 매거진을 통하여 선진 리스크 문헌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여러분과 함께 리스크관리가 우리나라 정부와 기업에서 문화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며, 지속적인 소통을 위하여 공식 블로그(https://k-risk.tistory.com )를 운영중입니다. 컨퍼런스 참여를 계기로 하여 조직/프로젝트/자산의 리스크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로 발전시켜 주시기를 희망합니다. 제4회 PRM 컨퍼런스 추진위원회 일동 과거 컨퍼런스 (Past Conferences) 2020~2022년도 제1회~3회 PRM컨퍼런스는 아래로 접근하십시오. 2020 1st PRMC 2021 2nd PRMC 2022 3rd PRMC
- 회칙 | K Risk 리스크
Acerca de 현행(2025년 2월 8일 개정) K-Risk 회칙은 아래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K-Risk 회칙
- 2023년 월간 K-Risk 뉴스레터 | K Risk 리스크
K-Risk Risk Magazine 2023년 월간 K-Risk Newsletter 매월 정기적으로 K-Risk 활동소식과 전세의 리스크 뉴스는 월간 K-Risk Newsletter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리스크관리 문헌과 기술기사는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연간 4회 발간하고 있는 K-Risk Magazine을 살펴보세요. 자세히 자세히 자세히 자세히 자세히 자세히 자세히 자세히 자세히 2020년부터 2022년 뉴스레터 살펴보기 임종권 K-Risk 회장/바름브레인 대표이사 jklim54@daum.net 010-9029-4329